미국 에너지기술 양자협력 현황
ㅇ (DOE) 미국 에너지부(DOE)와 산업부(구, 지경부)는 「청정에너지 R&D 협력 이행 약정서(Implementing Agreement)*」를 체결(‘11.10)
* 한미 과학기술 협정(‘99.7월)에 따라 체결, 에너지효율·신재생에너지 등의 협력 포함
- 매년 「한-미 에너지정책대화(EPD, Energy Policy Dialogue, 국장급)」를 통해 에너지 분야 정책공유 및 공동 R&D 논의 진행
ㅇ 한-미 에너지정책대화 11차까지 추진
ㅇ 연료전지차, 스마트그리드, 이차전지 분야 등 10개 과제 공동연구 지원
□ 환경규제 대응을 위한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용 1,000 Wh/kg급 리튬-공기 전지 원천기술 개발
◦ 총 정부출연금: 19.95억원
◦ 총 수행기간: 2016.06~2019.05
◦ 주관기관: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참여기관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그래핀올,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AIBN 연구소)
◦ 과제목표: 리튬-이온 전지(300Wh/kg) 대비 3배 이상의 에너지 밀도 (1,000 Wh/kg)를 가지는 에너지저장장치용 리튬-공기 전지 개발
- 리튬-공기 전지 초기 방전용량 (mAh/g) > 8,000
- 리튬-공기 전지 에너지효율 (%) > 80
- 리튬-공기 전지 수명특성 (Cycle@1,000mAh/g) > 200
- 리튬-공기 전지 에너지밀도 (Wh/kgpack) > 1,000
□ 증기압축식 대체를 위한 수 kW급 나노복합소재 기반 멤브레인 열펌프 개발
◦ 총 정부출연금: 19.95억원
◦ 총 수행기간: 2016.06~2019.08
◦ 주관기관: 한국기계연구원
◦ 참여기관
- 노스 텍사스 대학, 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 ㈜에코플럭스, (주)파워로직스
◦ 과제목표
◦ 멤브레인 열펌프(membrane heat pump)의 개발
- 기존 증기압축식 열펌프 대비하여 2배 이상의 높은 효율 잠재력
- 실험실 규모의 정량적 목표는 COP 5.0
- 증기압축식 기기 대비 동일 냉방용량 기준 소비전력 15% 이상 저감
◦소수성 멤브레인 열교환기(hydrophobic membrane)의 개발
- 나노공정에 기반한 멤브레인 합성 및 제조기술을 개발하여 멤브레인은 소수성으로 유지하되, 비이온성 나노채널을 친수성으로 구성하여 높은 수분 선택도와 건조한 멤브레인을 유지하도록 함
- 멤브레인 성능 목표 :
(1) H2O 최대투과율(maximum permeability) > 180 g/m2h
(2) H2O/N2 선택도(selectivity) > 400
□ 사고 저항성 및 크러드 흡착 저항성 향상을 위한 다중 금속층 복합구조 경수로 핵연료 피복관 제조 응용기술 개발
◦ 총 정부출연금: 20.0억원
◦ 총 수행기간: 2016.06~2019.11
◦ 주관기관: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참여기관
- 울산과학기술원,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MIT), 국제희토류금속(주)
◦ 과제목표
◦가동원전 사고 저항성 향상 및 크러드 흡착 완화를 위한 다중 금속층 복합구조 (Multi-Metallic Layered Composite, MMLC) 핵연료 피복관 제조 기술 개발
- MMLC 피복관 제조를 위한 필거링 공정 기술 개발
- MMLC 피복관을 통한 가동원전 LOCA 상황 시 고온산화 저항성 향상 기술 개발
- MMLC 피복관을 통한 정상운전 조건 시 크러드 흡착 저항성 향상 기술 개발
- MMLC 피복관의 조사 시험 및 조사로 인한 결함/손상 특성 분석
□ 150 kWh급 전기자동차 배터리팩 냉각장치 개발 타당성 연구
◦ 총 정부출연금: 0.4억원
◦ 총 수행기간: 2017.07~2017.08
◦ 주관기관: 한국기계연구원
◦ 참여기관
- 텍사스주립대학교(달라스)
◦ 과제목표
- 150 kWh급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의 열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배터리팩 냉각장치 개발의 타당성을 연구하고자 함
- 현재 전기자동차 배터리팩 냉각에 사용하고 있는 공기냉각 기술과 액체냉각 기술의 장단점을 면밀히 비교 분석하고, 전기자동차 배터리팩 냉각에 적용할 수 있는 상변화 냉각 기술을 도출함
- 현존하는 박판형 상변화 냉각장치에 대한 특허 분석을 통해 현재의 상변화 냉각 기술의 수준을 파악함
- 150 kWh에 이르는 높은 용량의 배터리팩의 열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열성능 지표를 도출함
- 해당하는 열성능 지표로는 열저항, 온도 편차, 냉각장치 중량 등을 고려할 수 있음
□ Oxygenic photo-granule을 이용한 에너지 소비량 절감(1kWh/kg.BOD이하) 하폐수 처리공정 개발
◦ 총 정부출연금: 0.95억원
◦ 총 수행기간: 2017.07~2018.06
◦ 주관기관: (주)부강테크
◦ 참여기관
- 인하대학교산학협력단, 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 과제목표
- Photo-granule 생성 조건의 정립
- Photo-granule에 의한 유기물 제거공정 기작 확인
- 조류+슬러지로 구성되는 biomass의 바이오가스 전환율 평가
- 하폐수 처리공정의 에너지 자립 목표 도출
- Photo-granule 적용 하폐수 처리공정 상용화 구축기반 검토
□ 150kWh급 전기자동차 배터리팩 상변화 열관리 기술 개발
◦ 총 정부출연금: 21.0억원
◦ 총 수행기간: 2017.12~2020.11
◦ 주관기관: 한국기계연구원
◦ 참여기관
-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 과제목표
◦ 상변화 열전도판(TGP)는 배터리셀에 밀착하여 배터리셀의 발열을 흡수하여 바닥 냉각판으로 전달하는 냉각 장치로 사용될 수 있음
◦ 또한 TGP는 추운 환경에서 배터리팩을 구동할 때, 바닥 가열판의 열을 빠른 시간 내에 배터리셀 전면에 전달하여 온도를 균일하게 올려주는 가열 장치로 사용될 수 있음
◦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사양의 배터리팩 상변화 열전도판을 개발함
– 배터리팩 타입 : 파우치형
– 배터리팩 크기 : 165 mm × 100 mm × 10 mm
– 배터리팩 발열량 : 77 kW/m3 (참고문헌 1, 2C 조건 기준) ~ 240 kW/m3(참고문헌 2, 5C 조건 기준)
– 배터리팩 권장 온도 : 20 ~ 40℃
◦ 150 kWh급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의 발열을 상변화를 통해 전달하여 배터리셀을 균일한 적정 온도로 유지하는 상변화 열전달판(TGP)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함
◦ 이러한 TGP는 배터리팩의 발열을 전달하는 냉각 장치일 뿐만 아니라, 추운 환경에서 가열판의 열을 배터리셀 전면에 빠르게 전달하는 가열 장치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는 열관리 기술임
◦ 정해진 공간 내에서 150 kWh급으로 용량 증대를 이루기 위해서는 배터리팩의 발열밀도는 현재 수준의 두 배 이상인 200 kW/m3까지 증가할 수 있고, TGP는 이러한 발열을 지속적으로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함
--> 200 kW/m3의 발열밀도를 가지는 150 kWh급 전기자동차 배터리팩을 상변화 열전달을 통한 냉각 및 가열시키는 상변화 열전달판(TGP) 개발
□ 개방형 아키텍처 기반 Remote Terminal Unit(RTU) 시스템 개발
◦ 총 정부출연금: 21.0억원
◦ 총 수행기간: 2017.11~2021.06
◦ 주관기관: 전자부품연구원
◦ 참여기관
- (주)나온웍스
◦ 과제목표
◦ 개방형 아키텍처 기반 RTU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
- 이종 제조사 I/O 모듈, 통신 인터페이스, Flow Computer/Sensor, SCADA 연동을 위한 RTU용 소프트웨어 플랫폼 개발
- 이종 제조사 I/O Module 인식 및 구동을 위한 스마트 I/O 모듈 개발
- 이종 산업 통신 프로토콜 연동을 위한 스마트 네트워크 모듈 개발
- 자원, 설정, OTA 등 RTU 성능 유지 및 시스템 관리 모듈 개발
- 산업재해 안전 예방을 위한 보안 모듈 개발
- 유․가스전 유정 현장(Wellhead) 용 애플리케이션 개발 ◦ RTU CPU Unit 및 I/O 모듈 개발
- 임베디드 프로세스 기반 저전력 CPU Unit 설계 및 개발
- Analog/Digital Input, Output 처리를 위한 I/O 인터페이스 개발
- I/O 모듈 연결 추가를 위한 확장 모듈 개발
- 다종 산업 네트워크 수용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개발
◦ ExxonMobil RTU 기술규격 개발 및 현장 실증 시험
- 석유․가스 산업용 개방형 아키텍처 기반 RTU 기술기준 개발
- RTU 시험을 위한 성능 및 동작 절차 개발
- 개발된 시제품에 대한 현지 실험실 및 현장 실증 및 검증
□ 부유식 초전도해상풍력발전시스템 산업화 촉진을 위한 국제공동 연구
◦ 총 정부출연금: 0.9억원
◦ 총 수행기간: 2017.07~2017.12
◦ 주관기관: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 참여기관
- AMSC, 울산대학교산학협력단
◦ 과제목표:
- 미국 에너지청(DOE)의 지원을 받는 AMSC사와 국제공동연구에 관한 MOU를 체결하고 공동으로 4MW+급 부유식 초전도해상풍력발전기 산업화 촉진을 위한 상세 연구계획서를 작성
□ 플라즈마 차징을 이용한 패시베이션 특성 향상 기술 개발
◦ 총 정부출연금: 1.0억원
◦ 총 수행기간: 2017.07~2018.06
◦ 주관기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참여기관
-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 과제목표
- PECVD로 증착된 ONO 패시베이션 층에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음전하(전자)를 주입하여 패시베이션의 효과 및 안정성을 평가
- ONO 층으로 p-type PERC의 후면을 패시베이션 한 셀을 제작하고, 음전하주입을 통해서 효율을 증가를 목표. (charge 주입 이후 >20.0% 셀 확보, 절대 효율 >0.2% 증가)
□ 열복사 제어 기능의 나노구조를 이용한 에너지 효율 향상 기술
◦ 총 정부출연금: 0.9억원
◦ 총 수행기간: 2017.07~2018.03
◦ 주관기관: 전자부품연구원
◦ 참여기관
- 경희대학교산학협력단,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MIT)
◦ 과제목표
◦ 열복사 제어 기술의 응용분야별 분석
- 주요 분야에 대한 특허 및 논문을 통한 기술분석
- 주요 분야별 시장동향 분석 및 향후 전망 예측
I : 고효율 열광전 전력공급 기술
II : 나노구조를 이용한 복사냉각 기술
◦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기술 네트워크 구축
- 해당 연구분야 선도기관인 MIT와 협력체계 구축
- 개발업체 또는 기관, 수요업체의 확보
(도출된 기술 또는 제품에 대하여 기업과 기술을 공유하여 수요 확인)
- 전문가 세미나 개최를 통한 자료확보
- 오픈 이노베이션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관련 학회 참석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한 기술 네트워크 확보)
◦ 연구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기술 개발 아이템 분석
- 기술 수준에 따른 응용분야 탐색
- 요소기술 분석을 통한 사업화 가능성 분석
- 기술개발을 위한 국내 기반 시설 및 관련업체 분석
◦ 기획보고서 작성
- 기획내용을 정리하여 기획보고서로 작성
◦ 구체적 계획이 반영된 연구개발제안서(RFP) 도출
- 향후 5~10년 이내에 사업화가 가능한 아이템 2건 이상 도출
□ 수소 충전소 위험성 평가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 총 정부출연금: 15.0억원
◦ 총 수행기간: 2017.07~2020.06
◦ 주관기관: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 참여기관
- 한국가스안전공사 에너지안전실증연구센터
◦ 과제목표
◦ 수소 충전소 설치 및 운영에 따른 법적 요건 및 위험요소를 충전소 운영자가 손쉽게 사전에 파악하고, 위험을 감소하여 사고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수소 충전소 위험성 평가(Risk Assessment)를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 법적 요건 확인 및 진단 시스템 개발
- 정성적 위험성평가 진단 및 위험요소 도출 시스템 개발
- 신뢰도 DB 기반의 사고 발생 확률 및 사고 전파 확률 산출 시스템 개발
- 인간 신뢰도 분석을 통한 인간실수 빈도 DB 구축 모듈 개발
- 피해 영향 분석 모델 개발
- 피해 영향 실증 실험
- 시범사업 추진 및 결과 검증
□ 캠퍼스 마이크로그리드의 미국 실증을 위한 타당성 조사 연구
◦ 총 정부출연금: 1.0억원
◦ 총 수행기간: 2017.07~2017.08
◦ 주관기관: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참여기관
- 엘에스산전(주),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과제목표
- 캠퍼스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기술의 해외 진출을 위한 기술적 및 경제적 타당성 조사
□ 해외 도서지역 마이크로그리드 시장 진출을 위한 하와이 마이크로그리드 법/제도 분석 및 실증사업 타당성조사
◦ 총 정부출연금: 1.0억원
◦ 총 수행기간: 2017.07~2018.06
◦ 주관기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참여기관
- ㈜포스코아이씨티, ㈜인코어드테크놀로지스, 엘지전자(주),하와이자연에너지연구소
◦ 과제목표
◦하와이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후보지에 적합한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및 사업화방안 제시
- 하와이 측에서 제안한 실증 후보지역 세 곳(UH-SOEST Marine Center, NELHA Park, North Hawaii Community Hospital)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마이크로그리드 기본 설계안 제시
- 해당 실증 Site에 적합한 마이크로그리드 운영계획 및 후속사업화 방안 제시
◦하와이 주 마이크로그리드 사업 촉진을 위한 법/제도 분석 및 법적 가이드라인 제시
- 하와이 주 전반의 에너지, 전력공급, 환경, 정책과 관련된 법/제도를 다각도에서 분석
- 법/제도 분석을 기반으로 하와이 주 마이크로그리드 사업 추진 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점과 마주할 수 있는 법/제도적 문제점을 포함하는 법적 가이드라인을 제시
- 향후 본 사업 추진 시 법적 가이드라인이 다른 도서지역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사업 경험을 토대로 이를 수정·보완하고 확장함
◦하와이 실증 후보지 대상 마이크로그리드 구축 사업 타당성 분석
- 각 하와이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후보지의 기술/법/정책적 타당성 분석
- 마이크로그리드 실증 후보지역 별 사업 경제성 분석
- 각 후보지별 사업 타당성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실증사업 추진 시 비교우위 선점
□ EV-DER 대규모 보급시 배전계통의 제어와 최적화 타당성 조사
◦ 총 정부출연금: 0.95억원
◦ 총 수행기간: 2017.08~2017.09
◦ 주관기관: 두산중공업
◦ 참여기관
- 한국전기연구원, 충북대학교산학협력단, Seattle City Light, Doosan GridTech
◦ 과제목표
- 북미 지역의 전기자동차와 분산자원의 대량 보급에 따른 배전망의 안정적, 효율적 운용 기술 개발 및 실증 방안, 경제성 분석, 비지니스 모델 제시
□ 3D 프린팅 기반 평관형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셀 기술 개발의 사전 타당성 조사 연구
◦ 총 정부출연금: 0.5억원
◦ 총 수행기간: 2018.08~2019.01
◦ 주관기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참여기관
- 루이빌 대학교
◦ 과제목표
◦ 3D 프린팅 기반 고신뢰성 평관형 SOFC 지지체 및 셀 공정 기술 개발 사전 타당성 조사.
- 고강도 평관형 지지체 3D 프린팅 공정 기술 개발 사전 타당성 조사
- 평관형 지지체 3D 프린팅용 페이스트 기술 사전 타당성 조사
- 3D기반 평관형 지지체 코팅 기술 개발 사전 타당성 조사
- 본과제 RFP 도출 및 국제공동연구 추진 계획 수립
□ 금속 수소화물 기반 하이브리드 나노 구조 구현을 통한 수소 자동차 탑재용 고체 수소 저장 물질 개발 연구
◦ 총 정부출연금: 10.0억원
◦ 총 수행기간: 2018.05~2021.04
◦ 주관기관: 한국과학기술원
◦ 참여기관
◦ 과제목표
<제어 가능한 하이브리드 나노 구조 소재 구현을 통한 탑재용 수소 저장 물질 연구>
◦ 금속 나노 입자와 그래핀 유도체의 하이브리드 물질 합성 및 수소 저장 성질 측정 연구
- 다양한 작용기 및 구조의 그래핀 유도체와 마그네슘 나노 입자와의 하이브리드 나노 구조 형성 및 수소 저장 성능 연구
- 금속 나노 입자와 환원 그래핀의 모델 시스템을 이용 결정 구조 변화 및 나노 스케일화에 따른 수소 저장 성질 변화 연구
- 수소 저장 성능과 금속 나노 입자 크기의 상관관계 연구
◦ 금속 나노 입자와 그래핀 유도체의 하이브리드 수소 저장 물질의 열물성 측정 및 열전달 현상 메커니즘 연구
- 분말 형태로 존재하는 수소 저장 물질의 열전도율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 구성
- 다양한 금속 나노 입자와 그래핀 유도체가 수소 저장 물질의 열전도율 측정
- 금속 입자의 크기와 그래핀 유도체가 수소 저장 물질 입자들 간에 접촉 저항 및 열전달 현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그래핀 유도체 및 상변태에 의해 가해진 금속 나노 입자 내의 응력과 이에 따른 수소 저장 특성 변화 분석
- TEM을 통한 Mg, Al, Pd 나노입자 분석 및 diffraction pattern 해석을 통한 그래핀 유도체가 금속 나노입자에 가하는 응력 분석
- 금속 나노입자에 가해진 응력을 기반으로 미국 Sandia 국립 연구소의 modelling 결과와 함께 금속 나노입자의 수소 저장 특성과 응력 간 관계 분석
- 수소 저장에 따른 금속 나노입자의 phase transition에서 발생하는 strain 유무에 따른 금속 나노입자의 수소 저장 성질과 응력간의 상관 관계 분석
□ 해외 도서지역 시장진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플랫폼 개발 및 비즈니스 모델 실증
◦ 총 정부출연금: 19.4억원
◦ 총 수행기간: 2018.11~2021.10
◦ 주관기관: (주)인코어드테크놀로지스
◦ 참여기관
- 엘지전자(주),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Hawaii Natural Energy Institute, 광주과학기술원
◦ 과제목표: 도서지역 기후환경 및 정책 변화에 적응 가능한 1)자기 학습형 최적제어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의 개발 및 2)선진국 도서지역 마이크로그리드 비즈니스 모델 실증
- 마이크로그리드 구축에 필수적인 설비, 요소기술 등을 보유한 개별 기업들과 대학, 해외연구기관이 협력하여 실증 사이트의 특성을 반영한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최적 설계, 구축
- 도서지역의 요금을 포함한 규제 환경의 잦은 변화, 자연재해 및 자연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 가능한 강화학습 기반의 자기학습형 마이크로그리드 운영 시스템의 개발
- 선진국의 친환경 정책에 기반한 세금 정책 및 규제 분석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의 발굴 및 실증
- 사업 중 작성한 인증 및 법적 가이드라인을 템플릿화하여 하와이 또는 다른 도서지역 마이크로그리드 사업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함
□ 드론용 공랭식 패시브타입 초경량 연료전지 무가습 MEA 개발
◦ 총 정부출연금: 27.6억원
◦ 총 수행기간: 2018.11~2022.03
◦ 주관기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참여기관
- 조지아 공과대학, 넥스컴스(주), 인하대학교산학협력단
◦ 과제목표
- 패시브형(passive type) 공랭식 연료전지 작동조건인 과도한 공기유량 및 무가습 조건에서 셀 온도를 적절히 제어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물 관리(water management)를 통한 전해질 막 탈수현상(membrane dehydration)을 억제하고 옴저항을 최소화하여 연료전지의 성능확보와 작동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는 핵심부품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임.
- 패시브형 공랭식 연료전지 작동에 특화된 새로운 개념의 캐소드 분리판 및 막전극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설계, 연료전지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부품 개발 중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와 시간/비용을 최소화할 계획임.
- 패시브형 공랭식 연료전지 작동특성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개발될 연료전지 3차원 프로그램은 공랭식 연료전지 real-scale 형상에 적용될 수 있도록 불균일하고 성긴 격자상에서, 연료전지 전기화학적 성능뿐만 아니라 상경계(phase-boundary) 및 수분분포를 효과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모델로 개발될 예정임.
- 1kW급 PEMFC 멀티콥터 개발을 통한 연료전지의 성능 입증을 하는 것을 최종목표로 함.
□ 10 KG/d 급 산업부산물 활용 희토류 회수 및 건설소재 원천기술개발
◦ 총 정부출연금: 27.47억원
◦ 총 수행기간: 2018.11~2021.10
◦ 주관기관: 광주과학기술원
◦ 참여기관
- 한국과학기술원, (주)대호산업, 컬럼비아 대학교, GreenOre Clean Tech LLC
◦ 과제목표
- 온실가스 실질 감축 및 유용 금속 자원 회수를 위한 에너지 집약 산업 부산물 활용 자원 순환형 고체 탄산화 기술 개발
□ 초저가 ESS 지향 중저온 구동 평판 Na계 이차전지 개발
◦ 총 정부출연금: 36억원
◦ 총 수행기간: 2019.12~2023.04
◦ 주관기관: (재)포항산업과학연구원
◦ 참여기관
- 한국전력공사,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PNNL)
◦ 과제목표
(1) 개발 대상 기술ㆍ제품의 개요
- 대용량 ESS 시장이 요구하는 고안전성, 장수명, 저가격을 모두 만족하는 새로운 Na계 이차전지 및 유닛 모듈
(2) 최종 목표
- 15Wh급 모듈용 단전지, 150Wh급 스택셀 및 1kWh급 블록 설계, 제조 및 평가기술
- 폴리머 밀봉을 이용한 단전지 대량 제조 기술 구현
- 핫박스 및 1kWh 모듈 제조기술
- 신규 전지용 BMS 알고리즘 설계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3) 개발기술의 평가 방법 및 평가 항목
-정량적 기술 목표 항목 (1/2/3/4차년도)
1. 모듈용 단전지 에너지 용량(Wh) (15/15/15/15)
2. 스택셀 정격 에너지 용량(Wh)(-/30/75/150)
3. 스택셀 DoD 이용률(%) (-/60/70/80)
4. 스택셀 방전 에너지 용량(Wh) (-/18/52/120)
5. 스택셀 충방전 횟수(회) (-/30/30/100)
6. 스택셀 방전 전류밀도 (mA/cm2) (-/10/20/30)
7. 블록 에너지 용량(Wh) (-/-/-/1000)
8. 고체전해질 면적저항(Ω·cm2) (5/5/4/3)
9. SoC 알고리즘 정확도 (-/80/90/95)
- 정량적 성과 목표 항목
시작품 출시건수 (-/1/-/2)
실증계획 보고건수 (-/-/1/1)
비즈니스 모델 도출 건수 (-/-/-/1)
국내 특허 등록 건수(-/-/-/2)
국내 특허 등록 SMART 평균 (-/-/-/B)
국내 특허 출원 건수(-/2/2/2)
국외 특허 출원 건수 (-/-/1/1)
공동 SCI 게재 논문 IF 3 이상 건수(2/3/3/4)
공동 SCI 게재 논문 IF 3 미만 건수(-/-/1/1)
해외참여기관과 인력교류 (1건 1개월/1건 1개월/-/-)
국제포럼 워크샵 등(2/2/3/2)
□ Flame 공정 기반 열관류율 1.0 W/m2K 이하 로이유리 개발
◦ 총 정부출연금: 14억원
◦ 총 수행기간: 2020.12~2023.11
◦ 주관기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참여기관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스탠포드대학교, 주식회사 케이씨씨글라스
◦ 과제목표
◦본 연구에서는 건물효율 향상을 위한 Flame 공정 기반 열관류율 1.0 W/m2K 이하의 로이유리 소재 합성, 후처리 기술 및 로이유리 제작 공정 개발을 목표로 함.
- 열관류율: 1.0 W/m2K
- 방사율: 0.012
- 전도도: 1.5 Ω/cm2
- 태양열 취득률: 0.45
- 가시광선 투과율: 70%
- 차폐 계수: 0.52
- 내습성: 5일
- 내스크래치성: 5개
- Haze: 1%
- 시작품 면적: 200 x 60 cm2
- 시작품 평균 방사율: 0.012
위 게시물은 ‘공공누리 제3 유형: 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