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ledning
1 ÖVERSIKT OCH FÖRFARANDE FÖR UPPRÄTTANDE AV PLANEN
1.1 Sammanfattning
1.2 Översikt över den rådande politiska situationen
1.3 Samråd med och involvering av nationella organ och unionsorgan samt resultatet av detta
1.4 Regionalt samarbete vid utarbetandet av planen
2 NATIONELLA MÅLSÄTTNINGAR OCH MÅL
2.1 Dimensionen minskade växthusgasutsläpp
2.2 Dimensionen energieffektivitet
2.3 Dimensionen energitrygghet
2.4 Dimensionen den inre energimarknaden
2.5 Dimensionen forskning, innovation och konkurrenskraft
3 STYRMEDEL OCH ÅTGÄRDER
3.1 Dimensionen minskade växthusgasutsläpp
3.2 Dimensionen energieffektivitet
3.3 Dimensionen energitrygghet
3.4 Dimensionen den inre energimarknaden
3.5 Dimensionen forskning, innovation ochkonkurrenskraft
4 NULÄGE VAD GÄLLER BEFINTLIGA STYRMEDEL OCH ÅTGÄRDER OCH PROGNOSER SOM GRUNDAR SIG PÅ DESSA
4.1 Beräknad utveckling av viktigaste exogena faktorer som påverkar energisystemens och växthusgasutsläppens utveckling
4.2 Dimensionen minskade växthusgasutsläpp
4.3 Dimensionen energieffektivitet
4.4 Dimensionen energitrygghet
4.5 Dimensionen den inre marknaden
4.6 Dimensionen forskning, innovation ochkonkurrenskraft
5 KONSEKVENSBEDÖMNING AV PLANERADE STYRMEDEL OCH ÅTGÄRDER
5.1 Impacts of planned policies and measures described in section 3 on energy systems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removals and a comparison with projections based on existing policies and measures (as described in section 4)
5.2 The macroeconomic and, to the extent possible, the health, environmental, 7 (328) educational, skills and social impacts, including with regard to the just transition (in terms of costs and benefits and cost-effectiveness) of the planned policies and measures addressed in Section 3, at least until the last year of the period covered by
the plan, including comparison with projections based on existing instruments and measures
5.3 Overview of investment needs
5.4 The impact of planned policies and measures described in section 3 on other Member States and on regional cooperation at least until the last year of the period covered by the plan, including comparison with projections based on existing styrmedel och åtgärder
Bilaga 1 – Beräkning av årlig och kumulativ energibesparing i enlighet med artikel 8 och 10 i det omarbetade direktivet för energieffektivitet
Bilaga 2 – Energisamarbete i Nordsjön – regionalt samarbete om havsbaserad förnybar energi
Bilaga 3 – Sammanställning av nationell konsultation |
소개
1 계획 수립을 위한 개요 및 절차
1.1 요약
1.2 현재의 정치 상황 개요
1.3 국가 및 노동조합 기관과의 협의 및 참여와 그 결과
1.4 계획 준비에 대한 지역 협력
2 국가 목표 및 목적
2.1 차원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2.2 에너지 효율 차원
2.3 에너지 안보 차원
2.4 국내 에너지 시장 규모
2.5 연구, 혁신 및 경쟁력 차원
3 통제 수단 및 조치
3.1 차원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3.2 에너지 효율 차원
3.3 에너지 안보 차원
3.4 국내 에너지 시장 규모
3.5 연구, 혁신 및 경쟁력 차원
4 기존 도구 및 측정에 관한 현황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예측
4.1 에너지 시스템 개발 및 온실가스 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외생적 요인의 추정 개발
4.2 차원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
4.3 에너지 효율 차원
4.4 에너지 안보 차원
4.5 내부 시장 차원
4.6 연구, 혁신 및 경쟁력 차원
5 계획된 통제 수단 및 조치의 영향 평가
5.1 에너지 시스템, 온실가스 배출 및 제거에 대한 섹션 3에 설명된 계획된 정책 및 조치의 영향 및 기존 정책 및 조치(섹션 4에 설명됨)를 기반으로 한 예측과의 비교
5.2 계획된 정책의 정당한 전환(비용, 이익 및 비용 효율성 측면에서)을 포함하여 거시경제 및 가능한 한 건강, 환경, 7 (328) 교육, 기술 및 사회적 영향 및 적어도 해당 기간의 마지막 연도까지 섹션 3에서 다루는 조치
기존 도구 및 조치를 기반으로 한 예측과의 비교를 포함한 계획
5.3 투자 필요성 개요
5.4 기존 정책 및 조치를 기반으로 한 예측과의 비교를 포함하여 적어도 계획이 적용되는 기간의 마지막 해까지 섹션 3에 설명된 계획된 정책 및 조치가 다른 회원국 및 지역 협력에 미치는 영향
부록 1 - 개정된 에너지 효율 지침의 8조 및 10조에 따른 연간 및 누적 에너지 절감액 계산
부록 2 - 북해 에너지 협력 - 해상 기반 재생에너지 지역 협력
부록 3 - 국가 협의체 편집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