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다이제스트
제목 | 글로벌) 아세안의 녹색 경제 회복을 위한 태양광 발전 보급 확대 방안 보고서 | ||||||||||||||||||||||||||||||||||||||||||||||||||||||||||||||||||||||||||||||||||||
---|---|---|---|---|---|---|---|---|---|---|---|---|---|---|---|---|---|---|---|---|---|---|---|---|---|---|---|---|---|---|---|---|---|---|---|---|---|---|---|---|---|---|---|---|---|---|---|---|---|---|---|---|---|---|---|---|---|---|---|---|---|---|---|---|---|---|---|---|---|---|---|---|---|---|---|---|---|---|---|---|---|---|---|---|---|
국가 | [글로벌] | 출처 | ASEAN Centre for Energy | ||||||||||||||||||||||||||||||||||||||||||||||||||||||||||||||||||||||||||||||||||
산업구분 | [태양에너지] | 등록일 | 2023.03.16 | ||||||||||||||||||||||||||||||||||||||||||||||||||||||||||||||||||||||||||||||||||
본 ASEAN 보고서는 아세안 10개국(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의 태양광 발전 동향 분석을 통해 태양광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 프레임워크를 제시함 제목 : Innovative Solar PV Utilisation to Support Green Economic Recovery in ASEAN 아세안 지역 태양광 발전 동향 o 전 세계 재생에너지 시장은 2019년 시작된 코로나19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경제침체에도 불구하고 성장세를 지속 유지해왔으며 2020년 기준, 아세안 국가 재생에너지 점유율이 총 에너지 소비량의 14.2%를 차지함 o 이러한 성장세 속에서 태양광 발전이 재생에너지원 중 성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2050년까지 아세안 국가 전체 전력 용량의 9.7%를 차지할 것으로 분석됨. - 미얀마와 태국의 예상 태양광 발전용량 규모는 7,000GW에 달할 것으로 예상 - 특히 캄보디아, 미얀마, 필리핀이 2030년까지의 태양광 발전 용량 목표를 설정한 반면, ▲인도네시아 (2025년 및 2050년), ▲라오스 (2025년 및 2030년), ▲말레이시아 (2025년 및 2035년) 의 경우, 중장기 목표 수립 o 태양광 발전 시설 형태의 경우, ▲지상형(Ground-Mounted)태양광, ▲수상(Floating) 태양광, ▲집중형(Distributed) 태양광, ▲태양광 PV+* 등 4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음 *태양광 PV+: 태양광 발전과 에너지저장시스템을 동시에 활용하는 발전시설 <아세안 국가별 재생에너지 및 태양광 목표 발전설비>
o 아세안 지역의 대규모 태양광 발전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석탄 발전량은 2000년부터 2020년까지 2배 가까이 성장하여 2020년에는 총 발전량의 40%를 차지하였으며, 태양광 및 풍력 발전량은 10% 미만을 차지함 o 태양광 발전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개발 거버넌스(governance), ▲각 국가들의 환경 및 사회 정책 개선 등의 변화가 필수적이며, ▲2030년까지 빈민국들의 재생에너지 보급률 증가가 중요할 것으로 분석됨 - 특히, 아세안 국가들의 농업 및 목축업 산업이 총 에너지 소비의 30%를 차지함에 따라, 농업 및 목축업의 산업용 신규 태양광 발전 설비 설치를 위한 대규모 토목 인프라 확대 필요 o 아세안 국가 중 베트남이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성공적으로 확대한 국가는 베트남으로 분석되며,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재생에너지 규모를 17.9GW에서 38.4GW로 확대함 - 이는 베트남이 태양광 에너지 인프라 확대를 위해 도입한 FIT*제도가 가장 큰 역할로 분석 *FIT, Feed-In-Tariff: 발전차액지원제도 태양광 발전 정책 프레임워크 제시 o (농업 및 어업) 아세안 국가 경제에서 농업 및 어업이 각 국가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농업·어업용 태양광 발전은 규모가 작은 것으로 분석되며, 농업·어업용 태양광 발전시설 확대를 위해 ▲농·어업용 태양광 발전 R&D 강화, ▲신규 농·어업용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보조금 확대, ▲농·어업용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및 관리를 위한 인재양성 등 관련 정책 수립이 필요함 o (BIPV 시스템) 아세안 국가중 싱가포르가 BIPV 시스템* 개발 선두국가로, 아세안 국가에는 총 68개의 BIPV 설치가 가능한 고층빌딩이 있는 것으로 분석됨. 각 국의 고층건물 및 정부 건물에 신규 BIPV 시스템 설치를 위해서는 ▲신규 BIPV 시스템 도입에 대한 대출 등과 같은 금전적 인센티브 제공, ▲신축 건물의 건축 자재를 BIPV 시스템 설치 가능한 자재 사용 의무화 등 관련 정책 수립이 필수적임 * BIPV,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 건물일체형태양광발전시스템 |
|||||||||||||||||||||||||||||||||||||||||||||||||||||||||||||||||||||||||||||||||||||
원문 링크 | https://aseanenergy.org/innovative-solar-pv-utilisation-to-support-green-economic-recovery-in-ase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