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상단주메뉴 바로가기

KETEP 세계에너지시장정보

닫기
닫기

동향 다이제스트

제목 글로벌) 재생 수소 및 파생 상품의 글로벌 무역 활성화
국가 [글로벌]  출처 IRENA
산업구분 [수소연료전지]  등록일 2024.11.27

제목 : 글로벌) 재생 수소 및 파생 상품의 글로벌 무역 활성화

        (ENABLING GLOBAL TRADE IN RENEWABLE HYDROGEN AND DERIVATIVE COMMODITIES)


external_image


2023년 수소(HS 280410)의 양자 무역 패턴 (백만 달러 및 %)

external_image

출처: WTO Analytical Database (WTO, 2024a)

Note: 양자 수입 데이터 기준; 좌측은 수출국, 우측은 수입 시장을 나타냄; RoW = 세계 기타 지역


현재 전 세계 수소 생산량은 연간 약 95메가톤(MtH2/)이며, 대부분 탄소 포집/저장없이 화석연료에서 생산된다. 수소 거래는 생산방식에 관계없이 상대적으로 소규모로만 존재하며 주로 서로 가까운 경제 간에 발생한다. 2023년 전 세계 수소 무역 가치의 60% 이상은 두 인접 국가 쌍 사이에서 발생했으며, 캐나다와 벨기에는 각각 미국과 네덜란드에 대량의 수소를 수출하였다. 그러나 생산 프로젝트가 더 넓은 지역에서 개발됨에 따라 향후에는 수소 무역흐름의 다각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에너지 전환에서 수소 및 수소 파생 상품의 역할

2050년까지 대부분의 에너지 소비는 재생 에너지(51%) 또는 바이오 연료(16%)를 사용하여 충족할 수 있지만, 수소 및 수소 유래 상품(암모니아, 메탄올 및 등유) 에너지 전환이 어려운 산업 공정 및 중장비 운송 분야의 탈탄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에너지 사용은 2050년 최종 에너지 소비의 약 14%를 차지할 것이다.

* 산업 공정(화학 제조, 비료 생산, 정제 및 강철 제조 등), 중장비 운송 연료(해운 및 항공 부문 등)

 

IRENAWTO2023년에 공동으로 분석한 결과, 국제 무역이 재생 수소 파생물 시장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상품은 수소보다 체적 에너지 밀도가 높기 때문에 장거리 운송에서 더 적합하다.

 

(수소) 순제로 목표를 달성하려면 2050년까지 저탄소 수소 생산을 5배로 확대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규모 전해조와 재생 에너지가 필요하다. 생산 방법에 관계없이 수소 거래는 비교적 소규모로만 이루어지며 주로 서로 가까운 경제권 간에 이루어진다.(운송비용 높음)

 

(암모니아) 암모니아는 해상 부분에서 2050년까지 19,700만 톤이 필요할 것으로 예되며, 전 세계 수소 수요의 약 45%가 사용되어 수소 수요의 두 번째로 큰 원천이다. 재생 암모니아는 초기 비용이 높지만, 탄소 가격 책정 및 차액 계약을 포함한 적절한 정책이 있다면 2030년까지 비용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메탄올) 오늘날 매년 약 9,800만 톤이 생산되는 메탄올은 대부분 화석 연료에서 생산된다. 재생 가능 메탄올 시장의 상대적 초기 단계를 감안할 때, 글로벌 무역은 화석 연료 기반 메탄올에 의해 주도될 것이며, 재생 가능 메탄올이 화석 연료와 경쟁하려면 상당한 투자, 혁신 및 정책 개입이 필요하다.

 

(KEROSENE, 등유) 재생 가능한 수소와 탄소원을 사용하여 생산된 합성 등유인 전자 등유는 특히 국제 항공의 탈탄소화를 위한 또 다른 주요 후보로 간주된다. 2023년 글로벌 등유 무역의 가치는 메탄올 무역의 41배 이상, 암모니아 무역의 55배 이상이다.

 

글로벌 무역 활성화를 위한 물리적, 제도적, 사회적 차원의 지원 조치 및 정책 권장사항

- 인프라 개발을 계획할 때 자원 가용성과 요구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재생 가능한 전기, 물 및 탄소의 적절한 공급을 보장한다.

- 생산자의 시장 접근성을 보장하는 수단으로 유통 인프라를 우선시하고, 소비자가 거래되는 상품에 어떻게 접근할지 고려한다.

- 회복력을 강화하기 위해 이들 부문 전반에 걸쳐 다양한 공급망의 개발을 지원한다.

- 신뢰할 수 있는 글로벌 시장을 보장하고 국경을 넘나드는 소비자 신뢰를 조성하기 위해 표준을 정비하고 인증의 차이를 줄인다.

- 정부 지원과 조달을 조정하여 수요를 촉진하고, 구매 위험을 완화하며, 공급망 개발을 촉진한다.

- 비용을 절감하고 기술 도입을 장려하기 위해 재생 가능 수소와 파생 상품 가치 사슬을 따라 주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관세를 재조정한다.

- 경쟁력을 강화하고 경쟁 환경을 균등하게 만들기 위해 탄소 가격 책정 메커니즘을 조정한다.

- 국제 협력을 활용하고, 모범 사례를 파악하고 효율성을 높이며 공평한 성장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포럼을 활용한다.

- 지속 가능한 산업 발전을 장려하기 위해 국내 및 해외 시장의 초점을 균형 있게 맞추고, 어떤 시장이 국내에서 가장 큰 가치를 더해줄지 고려한다.

- 수소 및 파생 상품 부문에 대한 국가적 행동 계획에 일자리 창출을 포함하고, 산업 개발 활용하여 사회경제적 진보를 이룰 수 있는 기회를 이해한다.

- 커뮤니티와 이해관계자 참여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따르고, 프로젝트 개발자들이 프로젝트에 대한 진정한 사회적 수용을 구축하도록 장려한다.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