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향 다이제스트
제목 | 인도) 인도 가스 시장 보고서 2030년까지의 전망 | ||
---|---|---|---|
국가 | [인도] | 출처 | LEA |
산업구분 | [기타 신재생] | 등록일 | 2025.02.18 |
제목 : 인도) 인도 가스 시장 보고서 2030년까지의 전망 (India Gas Market Report Outlook to 2030) 인도의 천연가스 수요 전망, 2023-2030
* 출처: IEA. CC BY 4.0. 인도는 급속한 경제 발전은 도시화 및 산업화와 결합되어 향후 몇 년 동안 천연가스를 포함한 전체 에너지 시장을 크게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도가 가스 기반 경제로 전환하고 석유 수입 의존도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함에 따라 2023년에서 2030년 사이에 가스 수요는 상당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성장은 인도의 가스 인프라의 급속한 확장, 국내 천연가스 생산의 회복(일반적으로 수입 LNG보다 저렴함), 글로벌 가스 시장의 상황 완화라는 세 가지 주요 추세에 의해 주도될 것이다.
인도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GHG 배출국으로 파리 협정에 따라 2030년까지 GDP의 탄소 강도를 2005년 수준에 비해 45% 줄이고 같은 기간 동안 총 예상 탄소 배출량을 10억 톤 줄이기로 약속했으며, 2070년에는 순 제로 배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도의 가스 수요 전망 인도의 천연가스 소비량은 2000년 이후 두 배 이상 증가하여 2023년에는 650bcm를 넘어 영국과 비슷한 수준이 되었으며, 2023년~2030년 천연가스 수요는 거의 60%(37bcm/년) 증가하여 예측 기간이 끝날 때까지 103bcm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압축 천연가스(CNG) 인프라의 급속한 확장과 소규모 산업 사용자에게 액체 연료에 비해 가스의 비용 이점에 힘입어 이러한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철강 생산과 같은 중공업 및 제조 부문도 수요를 주도하고 있으며, 이 기간 동안 총 약 15bcm/yr가 추가되며, 정유 분야의 가스 사용량은 더 많은 정유 공장이 그리드에 연결됨에 따라 연간 4bcm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발전 부문의 가스 수요는 대형 가스 화력 발전소의 회복과 캡티브 발전소의 가스 사용의 급속한 확대에 힘입어 2030년까지 거의 15bcm/yr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적으로 주거, 상업, 운송 및 전기 부문에서 천연가스 도입이 가속화됨에 따라 2030년까지 연간 15bcm의 가스 수요가 추가될 수 있다.
인도의 가스 생산 전망 2023년 수요의 50%를 충족한 인도의 국내 가스 생산량은 2030년까지 완만한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총 순 가스 생산량은 35bcm에 달해 국가 가스 수요의 약 절반을 충족했다. 2024년에서 2030년 사이에는 석탄층 메탄(CBM) 및 발견된 소유전(DSF)의 육상 생산 증가에 힘입어 완만한 성장만 예상된다. 그러나 KG-D6 유전의 생산량 정체와 ONGC의 뭄바이 해양 유전과 같은 레거시 자산의 생산량 감소로 인해 전반적인 성장이 둔화될 것이며, 이로 인해 2030년 생산량(38bcm 미만)은 2023년 수준보다 약 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의 가스 인프라 인도는 천연가스 부문에 대한 명확한 성장 신호를 제공하고 인도 에너지 경제에서 가스 사용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지원 정부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천연가스 부문) 인도 정부는 2022년 6.4%에서 2030년까지 국가 에너지 믹스에서 천연가스 점유율을 15%로 늘리기로 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운송 및 유통 파이프라인, 압축 천연가스 및 LNG 충전소, LNG 수입 터미널을 포함한 천연가스 인프라 확장에 중점을 두어 전국의 천연가스 접근성을 개선한다.
(LNG 부문) 인도의 LNG 재기화 용량은 지난 10년 동안 90% 확대되었으며, 2019년 이후 4개 새로운 터미널, 2024년 말에는 다헤지, 하지라, 다볼, 코치, 엔노레, 문드라, 담라의 7개 터미널에 걸쳐 총 명판 재기화 용량이 65bcm/년이었다. 명판 용량이 6.8bcm/년인 추가된 차라의 새로운 터미널은 2025년에 상업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인도의 에너지 믹스에서 가스의 역할을 높이기 위한 정책 인도 정부는 에너지 믹스에서 가스 점유율을 높이고 가스 기반 경제를 개발하기 위한 야심 찬 목표를 설정했으나, 천연가스의 낮은 가격, LNG 가격 상승, 인프라 부족 등으로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다음과 같이 7개 핵심 분야에서 목표 정책을 수립하면 2030년까지 인도 에너지 경제에서 가스의 역할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① 국내 공급 증가 ② 국내 인프라 개발 및 인프라 접근성 개선 ③ 가스 시장 경쟁 증가 ④ 경제 전반에 걸쳐 가스에 대한 경쟁 환경 평준화 ⑤ 잠재적 성장 부문에 대한 타깃 지원 제공 ⑥ 가스 공급 보안 보장 ⑦ 가스 가치 사슬을 따라 배출량 감소 |
|||
원문 링크 | https://iea.blob.core.windows.net/assets/ef262e8d-239f-4cfc-8f8c-4d75ac887a0f/IndiaGasMarketReport.pd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