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상단주메뉴 바로가기

KETEP 세계에너지시장정보

닫기
닫기

동향 다이제스트

제목 영국) Clean Power 2030, 수입 의존도를 줄여 안정성 구축
국가 [영국]  출처 EMBER
산업구분 [에너지효율]  [기타 신재생]  등록일 2025.03.10

제목 : 영국) Clean Power 2030, 수입 의존도를 줄여 안정성 구축


        (Clean Power 2030 builds stability by cutting import reliance)


external_image


 

발전용 총 가스 연료 사용량에 대한 수입 연료 비율, 영국 전력 공급(%)

external_image


 영국의 Clean Power 2030 Action Plan가스변동성에서 영국 소비자를 보호하고 전력 생산을 위한 가스 수입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영국의 화석 연료 생산량이 장기적으로 계속 감소함에 따라 수입 의존도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확대와 수요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에너지 연료 수입 의존은 에너지 안정성을 위협

 영국은 가스 공급의 45%, 디젤과 같은 석유 제품의 44%, 목재 펠릿의 약 95%가 수입에의존하고 있는데 이러한 수입 연료에 대한 의존도는 글로벌 시장에 의해 결정되는 가격 변동성과 공급 차질에 노출되어 .

 

 바이오매스 발전은 거의 전적으로 목재 펠릿 수입(95%)에 의존하고 있어, 발전기 가격 상승에 노출되어 있다. 에너지 위기 때 목재 펠릿 가격이 1/3 이상 상승했고 위기 전 평균보다 훨씬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영국의 전기요금 안정화를 위해 수입 감소 필요

 Clean Power 2030발전에 사용되는 가스의 비율을 202428%에서 5% 미만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매스와 같은 다른 수입품은 2030년까지 전력 시스템에 남아 있어 영국은 변동성이 큰 에너지 요금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영국의 가스 생산량 감소로 인해 가스 공급의 수입 의존도가 2023년 약 절반(45%)에서 2030년까지 공급량의 75%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러한 수요 감소를 달성하는 것이 시장 변동성에 대한 노출을 줄이는 데 매우 중요하다.

 

 전력을 위한 가스 의존도를 줄이면 영국 소비자가 높은 가스 가격과 시장 변동성에 노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주거용 전기 요금의 가장 큰 구성 요소는 일반적으로 가스 전력 가격에 의해 결정되는 전력의 도매가격이다.

 

 앞으로 청정 발전 대안을 구축하여 가스 사용을 줄이면 전력 가격 변동성을 줄일 수 있다. 청정 전력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통해 가스 사용을 줄이는 것은 국제 가스 가격이 영국 에너지 요금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가장 빠른 방법이다.

 

전기화는 Clean Power 2030의 보안 및 안정성 이점을 향상

 Clean Power 2030 실행 계획은 영국의 석유 및 가스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가스 전력을 대체하는 재생에너지의 보급이 가속화로 전력 시스템의 수입을 약 절반으로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전력 시스템 실행 계획이 있지만 영국은 아직 청정 전력의 에너지 안보 이점과 전기 가정용 에너지 소비의 비용 이점을 결합하기 위한 통합 전략을 가지고 있지 않다. 가격 충격과 수입 의존도에 대항하여 더 넓은 에너지 시스템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전기화는 에너지 효율성을 개선하고 소비자 청구서를 줄이기 위한 광범위한 조치와 함께 가정용 에너지에 대한 수입 의존도를 크게 줄이기 위한 솔루션의 중요한 부분이다.


 영국의 화석 연료 생산량이 장기적으로 계속 감소함에 따라 수입 의존도를 제한하고 에너지 요금을 안정화하려면 청정 전력 설치를 가속화하고 보다 탄력적이고 독립적인 그리드로 소비자 수요를 공급하는 것과 더불어 경제 전반에서 수입 연료 사용을 줄여야 한다.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