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상단주메뉴 바로가기

KETEP 세계에너지시장정보

닫기
닫기

동향 다이제스트

제목 글로벌) 청정에너지 전환의 보안
국가 [글로벌]  [남아프리카 공화국]  [네덜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독일]  [라오스]  [러시아 연방]  [말레이시아]  [멕시코]  [몽골]  [미국]  [미얀마]  [베트남]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스페인]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르헨티나]  [영국]  [우즈베키스탄]  [이탈리아]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체코]  [칠레]  [카자흐스탄]  [카타르]  [캄보디아]  [캐나다]  [콜롬비아]  [태국]  [페루]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필리핀]  [호주]  출처 IEA
산업구분 [기타]  [기타 신재생]  [수소연료전지]  등록일 2022.09.05


IEA 보고서는 신흥 시장의 에너지효율 개선 방향, 전력 접근성 동향, 글로벌 에너지 위기 대응 방안, 분야별 친환경에너지 역할 등의 분석을 통해 친환경에너지로의 전환 방안을 제안함.

 

제목: Security of Clean Energy Transitions


 o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Covid-19 팬데믹, 기후 비상사태 등 2022년 에너지 안보 위협 시대G20*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분석

*G20 : 미국, 중국, 일본, 독일, 영국, 인도,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대한민국, 러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멕시코,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튀르키예,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공화국, 유럽연합으로 이루어진 20대 경제대국의 모임`

 

신흥 시장의 에너지효율 개선 방향

 

o 2000년대부터 전세계 가정 및 기업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효율성 개선이 활발하게 이루어짐. 이러한 개선 없이는 세계 에너지 소비가 13%, 탄소 배출량이 14% 높았을 것으로 분석

- 2000년 이후 지속적인 에너지효율 개선을 통해 2017년까지 화석연료 기반 에너지 수요가 11EJ* 이상 감소하였으며, 이는 300억 달러의 가치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

*EJ,Exajoules: 엑사줄, 에너지 소비 단위

- 2030년까지 에너지효율 개선 목표를 연간 2%에서 4% 늘릴 경우, 연간 95EJ의 에너지 소비가 감소할 것으로 추정. 이는 2021년 유럽연합이 총 수입한 천연가스의 4배에 달하는 규모로 연간 650bcm*의 천연가스를 절약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남.

*bcm, billion cubic meter: 10억 입방미터

o G20 국가들의 에너지효율 향상 정책 이행시 고려 사항

- 기존 모범 사례 정책 참고를 통한 효율적인 정책 수립

- 에너지효율이 낮은 가전제품, 장비, 차량 및 건물에 에너지효율 표준등급 및 규정 적용

- 에너지효율이 높은 제품 및 서비스 부문의 적극적인 투자 확보를 위한 정책 수립

 

전력 접근성 동향

o 유럽연합이 수립한 SDG7* 계획의 일부인 전력 접근성이 2030년까지 전세계 인구 대비 92% 확보될 것으로 예상되나,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아시아 개발도상국들은 목표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나타남.

*SDG7, Sustainable Development Goal 7: 7개의 지속가능 개발 목표


<2020-2021년 미전화(未電化) 지역의 인구>

external_image

(출처: IEA (2021), The pandemic continues to slow progress towards universal energy access)

 

o 이에 재생에너지 설치용량의 목표 설정과 에너지 정책 수립을 통해 태양광, 풍력 보급률을 높이고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한 전력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

 

글로벌 에너지 위기 대응 방안

o 공급 및 수요 추세를 고려한 전략비축유 체제 개발 투자 확대와 가스 저장 시스템 개선이 필요함

o 유럽연합과 IEA20223월에 발표한 10-Point Plan*을 통한 G20의 적극적인 이행으로 연료 공급 부족 문제 해결

*10-Point Plan : 소비자들의 에너지 절약을 통한 화석연료 소비 감축 계획

 

에너지 자원 정책 개선 권고 방향

o (수소 및 저탄소 연료) G20 파트너십을 활용하여 암모니아, 수소 등의 수출입 인프라 활성과 국제적인 공급망 개발을 통해 바이오 에너지 활용 가능성 확대

- 화석연료를 대체 가능한 바이오메탄, 바이오매스 등의 기술개발을 통한 상용화

o (화석 연료) 노후화된 가스 파이프라인과 연료저장시설을 저탄소 연료저장 시설로 전환 필요

o (주요 광물 자원) 주요 광물 매장 국가의 비체계적인 채굴 관련 정책과 무분별한 채굴로 인한 중요 광물 공급 부족 문제


- 태양광발전소, 풍력발전소 및 전기 자동차 주요 부품 생산에 필요한 원재료(리튬, 니켈, 코발트, 망간 및 흑연 등) 채굴 시 체계적인 절차와 관리 정책 수립이 필요함

※ 본 정보는 게시일로부터 수정/변경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내용은 아래 출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