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상단주메뉴 바로가기

KETEP 세계에너지시장정보

닫기
닫기

동향 다이제스트

제목 글로벌) 에너지 전환을 위한 바이오 에너지
국가 [글로벌]  [남아프리카 공화국]  [네덜란드]  [노르웨이]  [뉴질랜드]  [독일]  [라오스]  [러시아 연방]  [말레이시아]  [멕시코]  [몽골]  [미국]  [미얀마]  [베트남]  [브라질]  [사우디아라비아]  [스페인]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아르헨티나]  [영국]  [우즈베키스탄]  [이탈리아]  [인도]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체코]  [칠레]  [카자흐스탄]  [카타르]  [캄보디아]  [캐나다]  [콜롬비아]  [태국]  [페루]  [폴란드]  [프랑스]  [핀란드]  [필리핀]  [호주]  출처 IRENA
산업구분 [바이오에너지]  등록일 2022.08.23

IRENA 보고서는 지속가능한 바이오에너지의 발전과 산업부문에 적용을 위한 바이오에너지 역할, 국제 바이오에너지 무역, 지속 가능한 바이오에너지 개발을 위한 정책 프레임워크를 제시함.

IRENA의 본 보고서는 IRENA1.5°C 시나리오에 근거하며, 산업 분야에서 바이오에너지의 활용 및 확대의 어려움에 초점을 맞춰 바이오에너지의 개발 개요를 제공함으로써, 정책 수립에 필요한 솔루션을 제공하고자 함

제목 : Bioenergy for the Transition: Ensuring Sustainability and Overcoming Barriers


에너지 전환에서 바이오에너지 보급 동향 (Bioenergy in the energy transition)

 

o 바이오에너지는 전 세계 에너지소비 중 약 12%에 해당되는 주요 재생에너지원으로, 산업, 난방, 청정조리(Clean cooking), 운송 분야 및 전력 생산에 중점적으로 활용되고 있음

- 현재,바이오 에너지는 난방 분야 소비가 2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8%는 현대식 바이오에너지(Modern Bioenergy), 12%*전통적 바이오에너지(Tranditional Bioenergy)를 사용하고 있음

*전통적 바이오에너지: 땔감, , 농장물 잔여물, 동물 배설물 등

 

< 전세계 최종 에너지 소비(2019)> 

external_image

o 또한, 가정과 운송, 건축, 난방 산업에서 사용되며, 총 시장 가치는 2019년 기준 약 790억 달러로 추정

 

에너지 전환에 있어 바이오에너지의 역할 (Role of Bioenergy in the Energy Transition)

o IRENA 에너지전환 전망 보고서(World Energy Transitions Outlook: 1.5°C Pathway)에 따르면, 바이오에너지는 2050년 기준 전세계 에너지 공급(1차 에너지 기준)량의 25% 이상, 에너지소비량의 17% 이상 차지할 것으로 예상

- 이는 연간 약 10GtCO2 규모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가능량으로 추정

- 산업 및 건물 부문에서의 난방, 운송 부문 연료 등에 바이오에너지 사용 확대 예상

- 또한, 산업 부문에서는 화학 및 플라스틱 제품의 원료로 사용 확대 예상

- 바이오에너지는 탄소포집저장(CCS, Carbon Capture & Storage) 기술과 함께, 탄소중립 달성에 주요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

o 바이오에너지의 사용의 중국, 브라질, EU, 미국 등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탄소중립을 달성을 위해서는 더욱 많은 국가에서 더욱 많은 생산과 소비가 필요

- 현재 전세계 산업별 바이오에너지 사용 비율은 건물 및 제조산업 부문에서 8%, 운송부문에서는 3% 차지

 

국제 바이오에너지 교역 동향 (International Bioenergy Trade)

o 국제 바이오에너지 교역의 주요 상품은 목재 펠릿, 바이오디젤, 바이오에탄올 임

o 액체 바이오연료

- 바이오디젤 주요 생산지는 아르헨티나,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중국으로, 2019년 바이오디젤 거래량은 49억 리터이며, 총 생산량의 10%가 해외로 수출

- 바이오에탄올 주요 생산지는 미국, 브라질이며, 2020년 바이오에탄올의 2.5%가 해외로 수출

o 고체 바이오연료

- 2020년 고체 바이오 연료의 교역량은 1,800만 톤에 달하며, 이는 총 생산량의 30%가 해외로 수출되어 거래되는 것을 의미

- 목제 펠릿의 주요 생산지는 미국, 캐나다, 러시아, 베트남이며, 2016-2020년도 목재 펠릿의 최대 수출국은 미국으로 분석


- 한국과 일본은 동아시아의 주요 목제 펠릿 수입국이며,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에서 2019-2020년사이 대한민국은 총 200만톤, 일본은 180만톤을 수입한 것으로 분석됨


지속 가능한 바이오 에너지 개발을 위한 정책 프레임워크 (Policy framework for sustainable bioenergy development)

o 바이오에너지의 지속가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5°C 목표 달성에 효과적인 역할을 위한 정책 수립 필요

o 정책 프레임워크에는 지속가능성 기반 목표 설정과 장기 계획 수립, 바이오 에너지생산과 소비 조정을 위한 이해관계자 간의 조정, 규제 및 인증 제도에서 지원하는 지속가능성 거버넌스, 지속가능발전목표(SD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와 바이오 에너지 정책 수립의 연계가 포함


<바이오에너지 개선을 위한 분야별 장벽 및 해결 방안>

분야

주요 이슈

해결 대안

정치적 / 제도적

정책의 불확실성

국가장기전략 및 계획 수립

바이오에너지 목표 설정

화석연료 사용 제한

복잡한 제도 구조

이해관계자(정부 부서)간 조정 및 통합

재정 / 경제적

화석연료 보조금

화석연료 보조금의 단계적 폐지

탄소 가격 정책

높은 비용

보조금, 보조금 및 기타 재정 지원

부과금 및 관세 감소

기타 재정 인센티브

금융 접근성 부족

유연한 대출 보증 절차

기술 / 인프라

기술력 부족

RD&D 인센티브 및 지원

인프라 부족

인프라 활성화를 위한 재정 인센티브

공급망

불안정한 원료 공급

바이오에너지 공급망 강화 조치

전문인력 부족

품질관리, 교육 및 기술 개발

지속가능성 위험

지속가능성 기반 목표 및 장기 계획, 부문 간 조정, 지속가능성 거버넌스 및 지속가능발전목표와의 통합

정보 접근성

신뢰할 수 있는 정보 부족

정보공유 및 홍보활동

낮은 대중 인지도



© 2011-2022 IRENA - 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 All Rights Reserved. 

 

 

 

※ 본 정보는 게시일로부터 수정/변경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내용은 아래 출처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쿠키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이거나 브라우저 설정에서 쿠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이트의 일부 기능(로그인 등)을 이용할 수 없으니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